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을 일컫는데, 미생물의 유전정보 전체를 일컫기도 하고, 미생물 자체를 일컫기도 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소장, 대장 등의 소화기관에 서식하는 장내 미생물인데, 이는 '제2의 유전체'로 불리며 비만부터 당뇨, 아토피, 관절염, 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병 치료의 열쇠로 주목받고 있다.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
- 소화와 영양 흡수
우리 몸속에는 다양한 미생물 39조여 개가 살고 있고 그중 95%는 대장을 비롯한 소화기관에 몰려 있어 장내 미생물은 우리가 섭취한 음식을 분해하고 영양소 흡수를 돕습니다. 특히 섬유소를 발효시켜 유익한 단쇄지방산을 생성합니다. - 면역력 강화
우리 몸의 면역세포 중 70% 이상이 장에서 활동합니다.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은 면역력을 높이고 외부 병원균을 막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정신 건강과 연관
장과 뇌는 서로 연결되어 있어(장-뇌 축) 장내 미생물이 기분과 정신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특정 유산균이 스트레스와 우울증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 - 체중 조절과 대사 건강
건강한 장내 미생물 균형은 비만, 당뇨병 등의 대사 질환 예방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특정 박테리아가 지방 분해를 촉진하고 식욕 조절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이 중요한 이유
마이크로바이옴의 대사산물은 면역세포 및 내분비세포뿐만 아니라 신경세포에도 작용하며, 생체기능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그 구성은 다양한 질환에 깊이 관여한다. 마이크로바이옴이 우리 몸에 얼마나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어떤 미생물이 얼마나 많고 적은지는 식습관이나 운동 등 생활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바이오헬스케어 업계에서도 마이크로바이옴이 가장 뜨거운 화제로 떠올랐다. 앞서도 예시한 바와 같이 현대인이 알레르기, 아토피, 소화기질환 등에 취약해진 것은 가공식품이나 항생제 남용, 소독약에 의해 지나치게 위생적인 환경에서 유익한 미생물과 기생충까지 사라지면서 마이크로바이옴 구성이 다양성이 망가졌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었다.
생명과학에 관심이 많은 빌 게이츠는 “영양실조나 장내 감염에 취약한 빈곤국 아이들은 마이크로바이옴이 발달하지 못하고 면역체계가 취약해질 뿐 아니라 질병에 빈번히 걸려 뇌 발달도 나빠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충분히 위생적인 환경에서 자라는 풍부한 나라의 아이들도 마이크로바이옴이 취약한 것은 같다.
가공식품과 항생제에 항시 노출된 탓에 비만, 자가면역 질환, 당뇨, 고혈얍 등의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도 모르게 살찌는 이유와 해결 방법 (0) | 2025.02.28 |
---|---|
어떻게 자는 것이 건강한 수면일까? (0) | 2025.02.27 |
알레르기의 모든 것! (0) | 2025.02.26 |
건강한 삶을 위한 필수템, 발효 홍삼 (0) | 2025.02.25 |
프로바이오틱스: 차세대 웰니스 시장을 선도할 기회 (0) | 2025.02.23 |
동의보감이 전하는 마늘 알리신의 항균과 면역력 강화 효과 (0) | 2025.02.22 |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한 콩, 대두 사포닌 (0) | 2025.02.21 |
오메가 지방산, 왜 중요할까? 건강 효과와 섭취법 (0) | 2025.02.20 |